lofty statue 2020. 9. 19. 19:58

Osam 해커톤 프로젝트 개발문서.

 

개발소스 지정양식에 맞게 Github에 저장
프로젝트 소개 지정양식에 맞게 readme.md 파일 제작(마크다운 작성)
발표자료 자율 형식으로 PPT 또는 PDF 파일로 작성하여 Github 내 지정된 저장소에 저장
시연영상 Github 내 지정된 저장소에 저장 및 링크 연결
라이선스 프로젝트에 맞는 라이선스를 설정하여 해당 license.md 파일 등록

 

현재 다시금 코로나 확산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기에 사회에서는 어떤 때보다도 비대면작업을 중요시하고 있다. 하지만 군대라는 단체조직 특성상 어쩔 수 없이 휴가복귀자 등의 경우에는 2주간 격리가 되는데 격리생활관의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타인원들과의 접촉이 철저하게 금지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은 지휘관의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 사용에 대한 문제가 있는데 현재 복무하고 있는 부대의 경우에도 격리생활관 인원들은 기존 규정에 정해진것처럼 사용하게끔 통제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다. 그렇기에 국방부에서도 코로나 19로 인해서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들로 인해서 생활관 병사 스마트폰 비대면 반납 앱을 App분야 개발 지정과제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스마트폰을 비대면으로 반납할 수 있는 App LOCKArmy (LOCKA)를 기획하게 되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현재 국방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국방모바일보안 앱에서 따왔다. 중앙서버를 통해서 사용을 제어하거나 혹은 자발적으로 앱을 turn/off 할 수 있는 환경은 구현, 현실적인 제어방안이 되기 어렵다고 생각하였기에 스마트폰 자체에서 접근권한을 부여받아서 앱이 켜져있을 시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차단하고 해제를 하고자 할때는 국방모바일보안앱과 동일하게 NFC나 QR코드를 통해서 해제를 하는 방식으로 기획을 하였다.

개인정비시간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지만 그 외의 시간에는 휴대폰의 모든 기능을 차단하여 휴대폰을 반납한 상황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휴가나 전역시에는 지휘관의 통제하에 지정된 QR코드나 NFC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해제할 수 있도록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기획과정에서 단순히 비대면 반납을 해결하는 것만으로는 다른 팀에서 나올 수 있는 결과물과 차별성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생각해낸 아이디어는 수요가 있으면 그때마다 개발 후 장병에게 배포되는 수많은 앱들을 통합하여 국방모바일보안 통합버전을 최종 아이디어로 선택하였다. 

 

국방오픈소스 아카데이 해커톤인 만큼 주요 목표시장은 군인들이 될 것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아이템 자체가 꽤나 확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공부할 때 스마트폰이 방해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이런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좋을것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도 스마트폰 절제 어플리케이션 '넌 얼마나 쓰니'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봤지만 큰 강제성이 없어 얼마 못가 잠금을 풀어버린 경우도 꽤 있었는데 이번에 개발할 아이템같은 경우에는 더 큰 강제성을 부여함으로 더욱 효용성이 높게끔 개발하여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제한 어플과는 차별성을 두려고 한다. 그 방안에 대해서는 Q4의 개발계획에서 조금 더 자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프로젝트의 영감을 준 앱 '넌 얼마나 쓰니'의 성공

마지막으로 시장기회 또한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한 '넌 얼마나 쓰니' 앱의 경우 100만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고 그 외의 다른 앱들도 상당한 다운로드 횟수를 자랑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유저의 입장에서는 조금 더 개선할 수 있는 점이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다른 잠금앱들과 비교했을 때 아쉬웠던 점을 보완하고 우선목적인 군인들의 통제를 위해 개발하는 것의 목적에 부합하게 만들기 위해 몇가지의 개발이슈를 생각하였다.

 

첫번째는 바로 개인정비시간을 구분지어줄 수 있는 시간에 대한 내용이다.

보통 혹서기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에 국방부에서 권장하는 시간대로 통제를 할 수 있도록 개발을 할 계획이지만 휴대폰 내부 시간을 조정해서 어플잠금을 피하는 등의 '악용사례'들을 철저하게 막는 게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두번째는 내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제한범위이다. 보통 휴대폰잠금앱의 경우에도 전화나 문자와 같이 휴대폰 본연의 기능 몇개정도는 허용하고 있지만 보안상의 문제나 여러 문제등으로 인해 이러한 기능 또한 본연의 목적에 맞게끔 제한하는 방향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세번째 이슈는 국방모바일보안 앱과 마찬가지로 앱이 on인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울 수 없도록 제한할 것이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mplement

range

  • 앱 실행차단기능
  • 디자인, 프론트엔드 영역
  • QR 코드나 NFC 인식기능
  • 개인정비시간 설정
  • App 삭제방지기능

인원 : 2명 예정

정강희 (github.com/vesselofgod)

유영서 (github.com/YoungseoYoo)

역할을 정하는 게 필요할지 불필요할지는 잘 모르겠음. 역할이 정해지면 그떄 작성함.

 

개발환경

윈도우 10에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VS CodeSpace
  • Android Stdio (프론트엔드 작업, 에뮬레이팅 작업때 제한적으로 사용될 것)
  • github respository(github.com/osamhack2020)]
 

osamhack2020

osamhack2020 has 3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License : MIT License

 

Develop Schedule

Due date : 11/12(Thursday)

OSAM Hackathon 일정

기본적으로는 이러한 일정에 맞춰서 개발하게 되지만, 현실적으로 시간이 꽤나 타이트하게 될 것 같기에 일정을 조절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그래서 가능한 아래의 일정에 맞추어서 개발을 진행하면 더욱 일정을 원활하게 짤 수 있을 것 같다.

 

~9/20 : 기본적인 초기 준비(README 작성, 개발 기획서 작성, 라이선스 등록 등..) 

~9/30 : 앱 차단 기능과 시간설정에 대한 간단한 코드작성

~10/4 : 프론트엔드 작업과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상 테스트

~10/11 : 프로토타입 완성

~10/18 : 발표자료와 시연영상 준비

~11/12 : 마무리 작업 및 패키지화, 그 외의 필요한 마무리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