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터코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스터코더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6)
    • 일기장 (25)
      • 개발일기 (10)
      • [React Native]LOCKA 프로젝트 (5)
      • [Node.js]Medilogue 개발일기 (5)
      • Lablup 인턴일기 (1)
      • 병영일기 (0)
      • Security Study (1)
      • 냉비서 개발 일기 (2)
    • 책리뷰 (0)
    • [AI] (1)
    • world (0)
    • 술 리뷰 (0)

검색 레이어

이스터코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일기장

  •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3화

    2021.10.27 by lofty statue

  •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2화

    2021.10.15 by lofty statue

  • node.js를 공부해보자 (4 : express web server 만들기)

    2021.10.08 by lofty statue

  • node.js를 공부해보자(2:html 모듈로 웹 서버 만들기)

    2021.10.08 by lofty statue

  • node.js를 공부해보자(1, 기본적인 문법과 callback, promise, async/await)

    2021.10.07 by lofty statue

  •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1화

    2021.10.05 by lofty statue

  • 야구 시뮬레이션 개발일기 (1. 왜 내가 하던 게임은 망겜소리를 듣나)

    2021.09.18 by lofty statue

  • Machine Learning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해요.

    2020.12.10 by lofty statue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3화

이전에 썼던 2화는 https://oflofty.tistory.com/62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2화 이전 1편은 https://oflofty.tistory.com/56?category=895804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1화 전역하고나서 약 2달반정도가 지났다. 그 사이에 강화도 여행, 부산 여행(을 빙자한 맥주집탐방 ㅎ), 글램핑 등등 암 oflofty.tistory.com 좀 오랜만에 개발일기를 쓰는 것 같다. 보고서 제출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과 프런트엔드, UI 디자인을 해놓고 나서 번아웃이 와서 한 5일간은 아예 커밋조차도 안 하고 살았다. 번아웃이 본격적으로 온 후에는 새로운 기능들을 개발하는 대신 이전 편에서 말했던 각종 오류들을 해결하고 테스트하는데 초점을 뒀다. 여하튼 자잘한 ..

일기장/[Node.js]Medilogue 개발일기 2021. 10. 27. 16:36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2화

이전 1편은 https://oflofty.tistory.com/56?category=895804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1화 전역하고나서 약 2달반정도가 지났다. 그 사이에 강화도 여행, 부산 여행(을 빙자한 맥주집탐방 ㅎ), 글램핑 등등 암튼 잘 놀고 나름의 칵테일 공부도 하면서 정말 '하고싶은 거 다 해!' 스럽게 살 oflofty.tistory.com 암튼 개발한지 이제 한 열흘정도 된 거 같다. 내가 왜 작년 해커톤때 웹을 안했을까... 싶을 정도로 개발 속도가 빠르다. 물론 내가 그때는 싸지방코더라서 정말 열약한 환경에서 개발을 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이번 개발은 꽤 괜찮게 진행되는 거 같다. 계획한 일정에서 항상 하루나 이틀정도 빨리 되니까 순조롭게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지금까지..

일기장/[Node.js]Medilogue 개발일기 2021. 10. 15. 03:15

node.js를 공부해보자 (4 : express web server 만들기)

이전 http에 대한 내용들을 배울 때 GET, POST, PUT, PATCH, DELETE 이 친구들에 대한 분기처리를 하는 코드를 작성했고 리팩토링까지 했다. 근데도 아직 많이 지저분한 감이 없지 않다. 그리고 나중에 쿠키, 세션 등을 작업하면 코드가 더욱 지저분해지고 서버 규모가 커질수록 더 개발하기가 힘들어진다. 이럴 때 express를 사용하면 기능들을 쉽고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express만의 파일 구조가 있는데 npm i -g express-generator라는 명령어로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scripts 부분의 start를 써서 node로 실행할 수도 있지만 npm start로도 실행할 수 있다. 로직을 보면 bin/www가 서버 실행부고 핵심 로직은 app.js에..

일기장/개발일기 2021. 10. 8. 23:31

node.js를 공부해보자(2:html 모듈로 웹 서버 만들기)

http module, locathost http 모듈이 서버를 여는 역할을 함. callback함수로 실행을 시킨다. 여기서 포트번호를 적고 실행이 제대로 되었을 때와 되지 않았을 때를 나누어서 action을 취한다. req : 방문요청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res : 요청에 대한 응답, 항상 요청에 응해야 하는 건 아님. res.wirte() :html문서 한줄씩 적어서 보내주는 것이고 res.end()는 더이상 write할 것이 없다는 것을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메소드로 마지막에 한번만 쓸 수 있다. 그리고 listen같은 경우에는 서버가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실제로 실행하면 아마 더이상 터미널에서 다른 걸 할 수 없다. 끄는 건 ctrl+c 접속은 localhost:포트번호로 접속할 수..

일기장/개발일기 2021. 10. 8. 02:42

node.js를 공부해보자(1, 기본적인 문법과 callback, promise, async/await)

이벤트기반,싱글쓰레드,non blocking I/O response 객체는 서버로 웹브라우저나 또는 앱으로 부터 어떤 요청이 있을 때 요청한 사용자 측으로 값을 반환해 줄 때 사용하는 객체다. 반대로 request 객체는 사용자가 요청한 내용이 담겨있는 객체라고 볼 수 있다. 뭐 URL을 치면 서버가 HTML을 요청한다던가... 이런 것들은 보통 callback함수로 지정되어서 이벤트리스너로부터 호출된다. 그렇게 되면 callback함수들은 테스크큐에 담기게 되고 이벤트 루프는 우선순위에 따라 큐에 담겨있는 callback함수를 콜스택으로 옮기면서 실행한다. 이런 걸 event driven이라고 한다. non blocking I/O non blocking : 테스크큐로 보내는 동작을 말함. 즉 눈에 보이..

일기장/개발일기 2021. 10. 7. 15:50

원격의료상담 툴 개발일기 1화

우선 프로젝트 repo! https://github.com/vesselofgod/WebRTC_HIPAA_Compliance GitHub - vesselofgod/WebRTC_HIPAA_Compliance: 원격 의료 화상상담 플렛폼 "메디로그" 원격 의료 화상상담 플렛폼 "메디로그". Contribute to vesselofgod/WebRTC_HIPAA_Complianc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전역하고 나서 약 2 달반정도가 지났다. 그 사이에 강화도 여행, 부산 여행, 글램핑 등등 잘 놀고 나름의 칵테일 공부도 하면서 정말 하고 싶은 것들을 하면서 살았다. 솔직히 언제 이렇게 살겠나 싶은 생각으로 잘 놀긴 했는데 그래도 코..

일기장/[Node.js]Medilogue 개발일기 2021. 10. 5. 03:31

야구 시뮬레이션 개발일기 (1. 왜 내가 하던 게임은 망겜소리를 듣나)

알 사람들은 알겠지만 나는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을 좀 오래한 편이다. 초등학교때부터 꾸준히 했으니까 벌써 10년이 넘었다. 그치만 내가 이 게임을 사람들한테 소개할 때 항상 좋은 소리는 못하겠다. 솔직히 말해서 망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너무 답답한 나머지 "차라리 내가 개발하는 게 더 재미있게 하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친구한테 토이프로젝트 주제 추천받을 때 비슷한 추천을 받은 것도 꽤 크고 ㅋㅋㅋㅋㅋ 그래서 먼저 기존에 하던 게임의 문제를 몇가지 짚어보려고 한다. 1. 우선 현질유도는 어떤 게임에서나 있겠지만은 그 정도가 지나친 편이다. 수많은 게임들이 현질유도 때문에 게임성을 말아먹었고 내가 하던 게임들도 마찬가지라서 더이상은 내가 구단운영을 잘 해서 성적을 낸다기보다는 현질을 한 팀..

일기장/개발일기 2021. 9. 18. 17:03

Machine Learning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해요.

예전부터 관심도 많았던 분야기도 하지만 막상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계기인 해커톤이 끝나고나니까 뭔가 글을 쓸만한 주제도 개발을 해야만 생기나 싶었는데 이게 생각보다 개발환경이 녹록치 못하다보니까 개발이 쉽지가 않더라고요. 원래는 toy project로 자동 게임맵 생성을 하려고 했었는데 pygame이 리눅스 서버 환경에서는 안돌아가니까 Azure나 구름ide에서 개발하기가 힘든 관계로 당분간은 ML공부나 할려고 합니다. 사실 예전에 학원강사로 일할 때 주제넘게 ML을 가르쳐보겠다고 할 때 강의하면서 여러모로 미숙하다고 많이 느꼈던 분야라서 공부를 더 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고 그때는 강의준비에 급급하다 보니 막상 내가 이해도가 부족한데도 수업들어가서 잘못 설명해줬던 부분도 생각나서 여기에 대해서 모자랐던 ..

일기장 2020. 12. 10. 23: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이스터코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